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얼타래
- 세대
- 세인트 바드
- 다이어트
- 한자 변환 안됨
- 넴작
- vba
- 얼어붙은 불타래
- 취업
- 그랜드마스터 펫 핸들러
- 한자 입력 방법
- CPU
- 에르그
- 알케믹 스팅어
- 엑셀
- 엘레멘탈 나이트
- 개방재료
- 히라가나 안나옴
- 매크로
- 마비노기
- 식품보조제
- 불타래
- 영양제
- 비타민
- 히라가나 영어
- 네임작
- 소켓
- 토쿠호
- 일본취업
- 씨피유
- Today
- Total
목록독학 개발자로 먹고살기 (6)
리얼일본 : 생생한 일본 모노가타리(日本モノガタリ)
IT업계에서 먹고 살기 위해선 무엇을 잘 해야 할까? 여러가지 개발 언어를 다루는 능력?여러가지 개발 업무를 수행하는 능력? (웹디자인, 프론트엔드, 백엔드, 데이터베이스, 네트워크 등)수 많은 개발 경험과 경력?위의 능력과 경력은 결국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새로운 패러다임이 나올때마다 도태될 뿐이다.그럼 무엇을 배워야 살아남을 수 있을까?새로운 시대에 맞춰 인공지능? 블록체인 기술? 3D프린팅? 완전 몰입 가상현실?마찬가지로 새로운 기술과 트렌드에 따라 도태될 기술일 것이다.만약, 개발자로써, IT업계 종사자로써 앞으로의 시대에 살아남기 위해서는 PM의 자질을 키우는 것을 적극 추천한다. 모든 시스템과 프로그램은 이유없이 만들어지지 않는다.고객의 요구에 따라, 필요에 따라 만들어지게 되어있다.고객이 개..
synology nas로 node.js 실행환경 만들기 서버를 돌릴때 한번쯤 고민하게 되는 하드웨어.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을 24시간 내내 돌리자니 리소스도 많많치않고, 전기세는 덤이다. 업무용 프로그램을 개인용으로 혼자서 만들어서 쓰는터라 수익도 발생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스로 갈아타기로 결심했다. 이번에 노드js 개발과정에서 중요한 메모들을 정리해서 올리고자 한다. 1. 설치 및 셋팅 2. google app script 와의 차이점 3. Rest API 4. 알아두면 편리한것들 google app script post man git NAS
git 사용법 및 명령어(add, ,commit, push) 깃을 처음 배웠을때 가장 많이하는 실수가 푸쉬를 안하는것 입니다. 어떤 블로그를 봐도 애드,커밋에 대한 이야기뿐, 그외에 비교기능이나 편리한 기능들만 적어서 우리들의 눈을 현혹시킵니다. 애드,커밋 과 푸쉬의 차이점을 심플하게 설명드리자면, 애드, 커밋은 로컬 환경 내에서만 버전관리가 이루어지며, 푸쉬는 실제로 클라우드에 데이터, 코드가 업로드 됩니다. 아무리 깃허브, 깃서버에 연결을 해놓았다 한들, 단어 그대로 "연결"만 해놓은 상태지, 클라우드에 파일이나 소스코드가 업로드 된것은 아니란 뜻입니다. 이상태로 컴퓨터가 고장나거나, 포맷을 시킬경우 모든 코드가 다 날라가며, 이런 실수를 저지르시는 분들이 매우 많습니다. 애드, 커밋 뿐만 아니라, ..
vscode로 개인용 nas 깃서버 클론,푸쉬 하기 깃허브로 여러가지 클라우드 플랫폼도 많이쓰지만, 월구독료를 내야하는 부담이 있다. 이전 글에서 개인용 깃허브를 만드는 방법을 소개하였다. 이번에는 개인용 깃허브에서 작업하는 방법을 소개하겠다. 이전 글에서 소개한 개인용 깃서버 설치 및 리포지토리 설정까지 완료된 전재로 진행하겠다. 1. 윈도우 파워쉘로 공개키,비밀키 생성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지 말것) 2. 나스에서 깃을 사용할 유저의 홈 디렉토리에 생성한 키 업로드 3. ssh 커맨드 입력 4. 로컬 환경에서 인증파일 생성 5. vs코드 실행 및 왼쪽탭에서 3번째 소스제어 실행(컨트롤+쉬프트+g) 6. nas 깃서버의 리포지토리 url 등록 및 클론시킬 로컬폴더 지정(폴더는 임의생성 및 지정) 커맨..
ssh로 synology nas에 접속하는방법 특정프로그램을 이용한 방법으로 적은 글들을 개인적으로 싫어한다 나중에 그 프로그램이 업데이트나 서비스종료로 못쓰게 되거나, 그 프로그램을 사용함으로써 발생하는 불이익에 대해서 적는사람을 거의 본적이 없다. 그러므로 필자 또한 그런 블로그가 되지않도록 조심하고자 한다. 윈10 부터는 openssh 기능이 기본 기능으로 탑재되어있다. 1. 윈도우 로고에서 설정 클릭 2. 메인 화면에서 앱 클릭 3. 선택적 기능 클릭 4. OpenSSH클라이언트 설치